안녕하세요 Raycast입니다. 이번에는 4차산업혁명의 주요화두중 하나인 3d프린터에 대해서 다뤄볼 생각인데요. 저도 평소에도 궁금했고 3d프린팅을 사용해본적도 있는만큼 개인적으로 관심이 가는 제품이라 여러 정보를 모아봤습니다.
3D프린터란?
3D프린터는 1980년대에 최초로 개발됬는데요.그 이후로 여러가지 개량과정을 거치며 오늘날에 이르렀습니다.기존의 프린터가 앞뒤좌우 즉, 2차원의 평면상에서 인쇄하는 기능을 가졌다면 3D프린터는 거기에 상하의 개념을 추가해 3차원의 입체로 물체를 출력해낼수 있는 기능을 갖고있는 프린터라고 보시면 됩니다.
3D프린터의 출력방식
우선 3D프린터에서 출력할 3D모델링 파일이 필요하고요
3D프린터의 출력방식은 크게 적층형과 절삭형으로 나뉘어지고
거기에서 또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출력방식이SLA,SLS,FDM,3DP,LOM,Polyjet,MM,MJM,DLP,CLIP 등등 엄청나게 많습니다.이중에서도 시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방식은 FDM,SLA,SLS등을 꼽을수있습니다.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가장 대중적인 방식의 3d프린팅 방식이라고 보시면됩니다.가장 많이 양산되서 가장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고있는 제품군이기도 하고요. 출력원리를 설명드리자면 2d프린터에서 a4용지의 역할을 하는 재료가 FDM방식에서는 보통 필라멘트라고 부르는 ABS나 PLA같은 플라스틱들인데(다른소재도 쓸수있습니다) FDM방식은 노즐에서 녹여 분사한 플라스틱 덩어리들을 밑에서부터 차근차근 쌓아가며 제품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라고 볼수있습니다.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액상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프린팅기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UV레이저빔이 영역을 쏴주면 UV레이저빔이 남긴 흔적대로 소재가 경화되어 제품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라고 볼수 있습니다.이 방식의 특징은 FDM방식에 비해서 속도가 월등히 빠르다는점입니다.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SLS방식은 CO2레이저를 이용해 플라스틱 소재의 분말을 선택적으로 소결시키면서 계속해서 적층해나가는 방식이라고 볼수있습니다.
SLS방식의 특징은 구조의 제한없이 자유롭게 형상을 만들어낼수있는것이 특징이고 엄청난 고가를 자랑해서 일반인들은 쉽게 접근하기 힘들며 주로 기업이나 산업체들이 구비해 사용하는 방식이라고 볼수있습니다.
3D프린터의 활용
현재 3d프린터는 주로 시제품제작이나 조형물제작에 쓰입니다만
앞으로는 집,옷,자전거,자동차,비행기,음식이나 인공관절등을 만드는데에도 쓰일수 있다고하니 앞으로의 전망은 무궁무진하다고 할수있습니다.
'IT >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패널 비교 VA,IPS,TN패널의 차이점은 뭘까? (0) | 2024.07.10 |
---|